제주도종합병원 협심증 발생 전 전조증상

영화나 드라마에서 갑자기 가슴을 잠고 쓰러지는 장면 한번씩 본 적 있으실 것 같은데요. 이 때 의심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협심증입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에서 제대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협착을 보이는 상태로 가슴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내부 공간이 좁아지고, 이 것이 혈액 흐름에 문제를 일으켜 심장에 피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서 가슴의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죠.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에는 협심증 외에 심근경색이 있어요. 심근경색은 혈전으로 인해 혈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로 가슴통증과 함께 심장근육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급성으로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협심증은 약 70%가 막혀있는 상태로 악화되면 심근경색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볼 수 있죠.

협심증은 안정형과 불안정형, 변이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각각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증상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형 협심증 : 심장에 부담되고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 가볍고 짧은 가슴 통증을 느낍니다.
불안정형 협심증 : 약간의 활동이나 안정 되어 있을 때도 발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변이형 협심증 : 움직임에 관계 없이 발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증상이 나타나기 직전 발생할 수 있는 전조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슴이 쥐어짜듯이 아픈 통증이 있습니다.
- 흉부 중앙에 돌이 얹어있는 듯이 압박감이 듭니다.
- 숨이 쉽게 차고 호흡곤란이 생기기도 합니다.
- 피로감이 심하고 휴식을 취해도 완화되지 않습니다.
- 어지러운 증상이 심해집니다.
- 어깨나 등, 목 등으로 통증이 퍼지기도 합니다.


제주종합병원 제주한국병원에서는 협심증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와 흉부 엑스레이, 심장 초음파, 심전도 검사,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여 심장과 혈관의 상태를 보고 진단하며, 이 때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는 런닝머신을 통해 일정 시간 달려 산소를 많이 필요하게 하는 상황을 만들어 심전도를 파악하는 검사 방법인데요. 안정적일 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심장의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예요.
또한 혈관 막힌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관상동맥 CT 촬영을 시행하기도 하며, 모든 검사 결과를 종합해 치료 방법을 선택한는데요. 증상에 따라 약물 치료를 시행하기도 하며, 수술 혹은 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치료에 적용하는 관상동맥우회술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협심증의 경우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넓혀주거나 새로운 혈관을 연결해주어야 하는데요. 이 때, 관상동맥을 대신하여 다른 혈관을 연결함으로써 심장에 혈액이 공급될 수 있는 우회로를 만들어주는 수술이 바로 관상동맥우회술입니다.
협심증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이 좁아질 수 있는 위험요인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줌으로써 건강을 챙기면서 짜거나 자극적인 음식,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섭취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병원 진료과목 > 뇌신경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불면증, 깊은 수면을 취하는 것이 어렵다면 (0) | 2024.02.13 |
---|---|
제주도병원 반복되는 손 떨림, 완화를 위해선 (0) | 2024.02.08 |
제주도신경과 어지럼증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 달라져요 (0) | 2024.02.02 |
제주병원 피곤함과 무기력 파킨슨병의 초기증상? (0) | 2024.02.01 |
제주뇌신경병원 편두통 심할 때 치료 방법으로 (1)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