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인 두통(긴장성 두통)은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머리 전체로 무지근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외부 요인이 해소되면 통증도 가십니다. 반면에 편두통은 외부 요인과 상관없이 유전적 요인, 호르몬, 혈액 순환의 문제로 생깁니다. 유난히 머리 한쪽이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짧게는 몇 시간에서 길게는 며칠이나 통증이 지속됩니다. 한 연구 재단에 따르면 편두통 환자의 절반은 진단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그저 일반적인 두통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편두통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3배 흔한 두통과는 다른 병입니다.

편두통의 증상
일반적인 두통과 구별되는 편두통의 증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머리에서 맥박을 느낍니다. 이를 머리를 망치로 때린다는 말로 표현하는 환자도 있다. 심장이 뛰는 리듬이 머리에서 느껴지는 박동성 두통의 경우 편두통을 의심해야 합니다.
2. 불꽃이 보입니다
편두통이 생기면서 뇌 혈류가 줄 수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환각의 일종입니다. 스파크가 일거나, 다양한 색의 점들이 떠다니거나,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빛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3. 한쪽 머리가 아픕니다
편두통이 시작될 때 활성화되는 신경 회로가 반복적으로 선택되면서 연결된 한쪽 뇌만 아프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쪽 머리가 모두 아픈 때도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4. 구역질이 납니다
어지럼증과 멀미가 나고, 심하면 실제로 토를 합니다. 편두통이 진행되는 동안 위의 활동이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5. 냄새에 민감해집니다
편두통이 시작되면 두뇌는 과민하게 반응합니다. 소음과 빛, 냄새에 평소보다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스치는 사람들이 점심때 뭘 먹었는지 알아차릴 정도가 됩니다. 편두통 환자들이 어둡고 조용한 방에 혼자 틀어박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6. 몸 한쪽이 저립니다
편두통이 감각기관에 영향을 주면서 몸 일부에서 저리거나 얼얼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심하면 몸의 한쪽이 무기력해지는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말이 어눌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뇌졸중과 유사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7. 목이 뻣뻣합니다.
편두통이 시작되면 척수의 윗부분을 통해 두뇌로 통증이 전달됩니다. 목덜미에도 여파가 전해지고 뻣뻣해지는 듯한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8. 자주, 오래 아픕니다.

편두통은 서너 시간에서 사흘까지 지속하는 게 보통입니다. 일 년에 수차례, 한 달에 한두 번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처럼 편두통은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저 두통이라고 여기며 치료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편두통은 예방 치료를 시행한다면 발생하는 빈도수와 통증의 강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주한국병원에서는 통증의 강도와 빈도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립하여 약물치료 및 보톡스 치료로 증상 호전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보톡스 치료란 보툴리눔 톡신이라는 성분을 가진 주사제로 FDA, KFDA에서 승인받은 안정성이 뛰어난 편두통 치료제입니다. 제주한국병원 엠겔러티 보톡스 치료는 적은 부작용으로 안정성이 뛰어나며 다른 치료에 효과가 없던 분들께 적용 가능합니다. 간단한 주사 치료로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바쁜 직장인이라도 안심하고 치료가 가능합니다.

주사 후 약1~2주 후에 치료 효과가 나타나며 3개월 간격으로 두피에 보톡스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제주두통병원에서 두통과 구별할 수 있는 편두통의 증상과 그 치료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제주한국병원에서는 개개인의 증상에 맞는 알맞은 치료 방법만을 안내해 드리며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편두통 더 이상 방치하지 마시고 올바른 치료로 통증을 해소해 보세요.
'한국병원 진료과목 > 뇌신경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이석증 어지럼증 불편한 일상이 지속된다면 (1) | 2023.11.30 |
---|---|
건강한 2030 쓰러뜨리는 뇌수막염_제주병원 (2) | 2023.11.30 |
제주불면증 방치하면 삶의 질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1) | 2023.11.09 |
제주편두통 왼쪽 오른쪽 통증 심할 때 병원 찾아야 하는 이유 (1) | 2023.11.02 |
제주신경과 뇌졸중 증상이 나타난다면? (1)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