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의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온몸에 혈액을 순환시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것을 혈액 박출 활동이라 합니다.

심장의 수축은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심장 근육세포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 일어납니다. 심장에는 전기자극을 만들어내는 자극 생성 조직과 이를 심근세포에 전달해 주는 자극 전도 조직이 있습니다. 심장의 자극 생성 조직에서 규칙적으로 1분에 60~100회의 전기 자극을 만들어 내고 이 자극이 심근세포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 반복되면서 각 신체 조직으로 필요한 혈액이 충분히 공급됩니다.

그런데 만약 심장에서 전기신호의 생성, 전달에 이상이 있거나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할 경우에 정상적이고 규칙적인 수축이 계속되지 못합니다. 이때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부정맥은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심장박동의 전기 신호 생성과 전달에 관련된 모든 질환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분당 60~100회를 유지하는 데 운동이나 상황에 따라서 100회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부정맥은 상태에 따라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어떻게 나누어질까요?
● 빈맥성 부정맥
- 분당 심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정상보다 빨라 문제를 유발하는 부정맥입니다.
● 서맥성 부정맥
- 분당 심박수가 60회 미만으로 정상보다 느려 문제를 유발하는 부정맥입니다.
● 심박세동
-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반복되는 부정맥으로 심혈관이나 뇌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부정맥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부정맥은 선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심장으로 전해지는 전기자극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혈압,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
-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 잦은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 유전 및 가족력

부정맥의 증상은 간헐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시적이라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2개 이상 나타난다면 제주심장내과 제주한국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갑자기 힘이 빠지며 식은땀이 자주 흐릅니다.
- 안정적인 상태에서도 심장 박동이 빨라집니다.
- 휴식을 취해도 피로하고 어지럽습니다.
-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 얼굴에서 열이 발생하며 붉게 변합니다.
- 심한 경우 의식이 저하되어 실신합니다.


제주심장내과 제주한국병원 부정맥을 진단하기 위해서 24시간 심전도, 운동 부하 심전도 및 심장 초음파와 전기 생리학적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의 검사 진행합니다. 부정맥의 치료 방법은 달리 없고 약물 복용을 통해 심박수를 정상적으로 조절하거나 제세동기 등의 삽입 및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