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에 거주하는 A 씨는 숨쉬기 힘들 정도로 전신에 통증이 있고 만성 피로가 오래되어 진통제를 복용하다 병원에 찾아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검사 결과 상 특별한 원인이 없다고 하여 주변에서 꾀병이 아니냐고 의심을 하여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애월읍에 거주하는 B 씨는 아무리 잠을 잘 자고 통증이 심해 일을 그만두고 쉬어도 피로감이 계속되어 병원을 찾았는데 검사 상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진단되어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처럼 전신에 통증이 있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만성적인 피로감이 가시지 않는다면 '섬유근육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이란 특별한 이유 없이 신체 전반적인 통증, 피로감, 수면장애, 인지장애 등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생소한 이 질환, 대체 무엇일까요? 제주류마티스내과 제주한국병원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명확하지 않습니다. 가족 중 섬유근육통 환자가 있다면 발생 위험이 약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요인으로는 바이러스감염, 갑상선기능저하증, 외상,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경계 이상으로 통증 지각에 문제가 발생하고 중추신경계 통증 조절 이상과 근육과 힘줄의 미세 손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질환의 진단은 제주류마티스내과 제주한국병원에서 가능합니다.
섬유근육통은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편이며 특히 3~50대 사이의 연령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에게 9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섬유근육통, 주요 증상은 통증과 피로감
01) 통증
환자분들의 95% 이상이 호소하는 전신 통증은 어느 한 부위에서 시작해 결국은 전신으로 퍼지게 되며 대부분 온몸이 돌아가면서 아프다고 증상을 호소하십니다. 척추를 중심으로 목 어깨 통증이 나타나며 뻣뻣한 것 같기도 하고 뼈 깊숙이 아프기도 하고 얼얼하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어떠한 경우에는 몸이 경직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데 주로 아침에 몸이 뻣뻣하고 오후가 되면 호전이 되지만 심한 경우에는 하루 종일 이러한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02) 피로감
만성적인 피로감을 느끼고 아무리 푹 잠을 자도 피로하며 자다가 자주 깨는 수면장애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기억력 장애, 인지장애, 우울감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고 가벼운 자극에도 예민하게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통, 복통, 변비 혹은 설사도 위와 동반되어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섬유근육통 진단 방법은?
임상 양상을 관찰하여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3개월 이상 전신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의 통증의 지수, 인지능력, 중증도 등을 평가하여 점수를 매겨 일정 척도 이상에 해당되면 섬유근육통으로 진단을 하게 됩니다.
이외의 진단에 특별한 검사가 필요하진 않지만 갑상선 질환 등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을 위해 영상검사나 혈액검사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검사는 제주류마티스내과 제주한국병원에 내원하여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치료를 할까?
01) 약물치료
진통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수면장애를 완화합니다. 또한 압통점에 주사치료를 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02) 운동·심리치료
통증 감소와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해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통증 유발 심리적 요인을 치료하는 인지 행동 요법과 심리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을 방치하게 되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심한 통증과 우울증까지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발병하면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 방법이 있나요?
섬유근육통 자체의 발병은 예방 방법이 없습니다. 발병 초기에 병원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 증상을 최대한 빠르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며 질환 자체가 합병증을 일으키진 않지만 심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고 불안장애, 우울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악화되지 않게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섬유근육통은 진단이 늦는 경우가 많습니다. 갱년기로 오인하기도 하고 원인을 찾지 못해 이병원 저병원 검사만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체 중 7군데 이상이 3개월 이상 통증이 있다면 섬유근육통을 의심하고 제주류마티스내과 한국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섬유근육통 환자분들이 우울증을 호소하고 계십니다. 그렇기에 빠르게 검사받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평소 스트레스 관리를 하는 능력을 기르고 제주류마티스내과 제주한국병원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제주한국병원 류마티스내과 노정원 과장
진료분야
-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 통풍, 섬유근육통, 다발성류마티스성근통
- 루푸스, 쇼그렌병, 전신경화증
- 강직성 척추염, 베체트병, 전신 혈관염
경력
- 삼성서울병원 내과 인턴 수련
- 삼성서울병원 내과 레지던트 수련
- 삼성서울병원 류마티스내과 전임의
- 제주대학병원 류마티스내과 전임의
- 現 한국병원 류마티스내과 과장
학력
-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의학석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학회활동
- 대한내과학회 정회원
- 대한류마티스내과학회 정회원
- 대한노인병학회 정회원
한국병원 카카오톡 바로가기

'한국병원 진료과목 > 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 감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제주도병원] (0) | 2023.04.10 |
---|---|
제주한국병원 부종 증상 및 원인 :: 심부전 (0) | 2023.03.28 |
제주단백뇨 소변에 거품이 나와요, 왜 그런 걸까? (0) | 2023.03.17 |
침묵의 병 이상지질혈증, 제주도내과에서 관리해요 (0) | 2023.03.14 |
제주도내과 통풍 초기 증상 제대로 알고 대처하자 (0) | 2023.03.07 |